과거의 우물 6 인상주의 너머 인상주의 그림들과 관련하여 스스로에게 던지던 의문들이 있었다. 이를 테면, 쉬슬리 Sisley의 그림 ‘봄철의 초원’은 막연하나마 인상주의적임을 느낄 수 있었지만, 카이에보트 Caillebotte의 풍경화 ‘유럽의 다리’가 왜 인상주의적인지는 언뜻 감이 잡히지 않았던 것도 .. 연작산문 2014.09.30
과거의 우물 5 시적 산문 필자의 개인적인 사색이 단어와 문장이 되어 책으로 출간될 때마다 속으로 이게 마지막 책이겠거니 했었다, 다음 글로 쓸거리를 좀은 남겨둘 걸 하면서. 그 책 안에 더 이상 쓸 게 없을 만큼 마음을 다 털어놓기 탓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그 빈 마음은 .. 연작산문 2014.09.30
과거의 우물 4 글은 무엇으로 쓰는가 최근에서야 나는 시인 말라르메와 화가 드가가 나눈 다음의 대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네 머리 속에는 지금 기발한 아이디어로 가득 차 있으나 소네트( 14행시)를 쓸 수가 없어 고통스럽다.'라고 화가 드가는 말하였고, 그 시인은 '시는 아이디어로 만들어지는 것이 .. 연작산문 201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