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훈 저자의 글 요약을 중심으로: 단토는 1964년 앤디 워홀의 전시회를 접한 후, 예술의 종말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이론적 효과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인 것은 적어도 시각예술에 관한 한, 시각예술을 성립시켜주는 토대인 시각의 무능력, 혹은 무의미함을 그가 주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단토는 예술의 종말을 주장하기 위해 미적인 것의 죽음이라고 하는 예기치 않은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 과거에는 미술작품은 언제나 미술작품으로 확인가능하다는 암묵적인 신념이 있었다. 사실 일부 예술철학자들마저 이직도 이런 생각을 품고 있다. 그러나 현대미술은 왜 그것이 예술작품이 되는지를 설명해야 하는 새로운 철학적 물음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현대미술을 미술로 만들어 주는 데 시각적인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