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작산문

플라멩코이야기 2-25

jhkmsn 2014. 8. 3. 13:05

              회상의 숲길

                   5.

서편제 영화에는 플라멩코의 juerga와 duende에 해당되는

몰아적 도취의 소리판이 연출되는 장면이 두번 있다. 예정에

없는 우연히 일어난 그 사적 모임은 자연발생적이다. 무심코

터져 나오는 소리꾼의 소리와 이를 부추기는 고수의 북채놀림에

어개춤이 그 뒤를 잇는다. 그들은 어느 덧 자신들의 소리와 리듬에

매몰되면서 내일의   걱정도, 마음의 번뇌도, 그리고 현재의

애통함도 까맣게 잊은 몰아적 도취에 빠져든다. 

한번은 떠돌이 소리꾼 가족 3인이 해안가 언덕길 따라

내려오면서 펼치는 아리랑 소리 한마당이 그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막에서 의붓 오누이 둘이서 판소리 한 마당을

소리와 장단으로 밤을 새는 일종의 도취적 의식이 그것이다.

 

그런 몰아적 소리마당의 현장은 플라멩코에서는  집시들의

그들 만의 사적 모임은 juerga에 비교되고 그 때 일어나는  몰아적

도취의 분출이 duende에 해당된다. 인문은 플라멩코에 홀려지낸

지난 10여년간 그런 juerga도 그리고 그런 duende도 체험해보지

못하였다. 서편제에서 본 그런 자연발생적 소리와 춤 그리고

그런 도취와 맥을 같이하는 아래의 전통적인 순수한

플라멩코 춤을 화면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느껴보았을 뿐이다.

She was magnificent. She knew no footwork, and consequently

danced barefoot. Her costumes were simple gypsy skirts and

blouses. She did not dance by arrangements, but improvised

as her moods demanded. Her outstanding assets and those

most difficult to find in a dancer were the beauty and grace

of her arms and hands, the suppleness(나긋나긋함) of her

movements, authenti​city of her facial expression, her refreshing

naivete, her complete abandon to her duende, and above all,

her naturalness.

인상적인 맨발의 집시춤은 화가 구스타프 도레의 그림에서 ,그리고

빅토르 유고의 노트르담의 곱추의 영화에서​ 볼 수 있다.

​그런  듀엔데적 감동을 플라멩코 춤에서 직접 보며 느낀 경우는

아마도

인문이 후아나의 춤을 보기 위해 찾아든 그라나다의 다로의

작은 공연장에서 일 것이다. 인문은 그 때 공연자들 곁에서

일종의  듀엔데의 취기를 맛보았다.그리고  juerga에 관해서는

그 다음의 행선지였던 플라멩코의 고도이자, 바일라오라 마리아

베르뮤데스가 거주하고 있던 jerez에서 그마리아의 친척 모임의

노애와 춤 행사가 그런 순수한 플라멩코 파티가 아니었나

싶다.

마리아의 집시 남편의 가족 중 한 노인이 지팽이로 박자를 맞추자

단순한 가정집 부인 같은 한 중년 부인이 칸테를 부르고 그 뒤를

이어 남자의 기타 연주가 그리고 한 여자의 춤이 그 뒤를

잇는 것이엇다.  그렇지만  그 친족들의 파티는

듀엔데에 이르지는 못한 소박한 사적 juerga의 수준에 거쳤었다.

더우기 안타까운 것은 인문이 그  상황의 전개를 더 이상

지켜 볼 수 없었기에 그 후에라가의 듀엔데는 못보자못했다.

멀고 긴 여행의 노독으로 인해 그 상황에서 여행자로서의 호기심이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많이 지쳐 있었던 그 순간

그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호텔로 돌아가 누워 쉬는 일이었다

인문은  그래서 때때로 자신이 매몰되고 싶은  플라멩코의

순수한  juerga와 그로 인한 취기의 분출이 일어나는

듀엔데를 상상으로 느껴볼 뿐이다.

'아래'

The juerga begins in the traditional manner, with dinner and quantities

of wine, erupting around into gay dancing ,singing and jaleo,

tatally carefree and uninhibited. We carry on in this state during the

emptying  of many more cases of wine , amid the excellence of

the gay cantes of Mairena, La Bernada, and others, until a quiet

expectancy slowly settles over the gathering.

The time arrives when moods are mellow, and bodies and throats

wine-warmed and flexible. Diego begans drumming a slow ,melancholy

siguitiyas. Mariena , infected with the duende of Diego's playing

, starts singing thsi despairing rhythm amid absolute stillness.

He sings beautifully and with great emotion, finishing on a note

of tragedy, pervading the room with a quieting ​depression.

La Fernanda is shamelessly weeping.

The guitar​ sounds again, this time the sluggish, persistent call

of the soleares(loneliness). Juan Talega begins singing, and

despondency(낙담) deepens.​ He sings interminably, in ancient

ways that are nearly forgotten, slowly ,methodically (규칙적으로).

Suddenly a barefoot girl is dancing. No one saw her begin:

They only saw her somehow appear in the middle of the dirt

floor, surrounded by the mahogany (적갈색)faces of spell-bound​

gypsies.​ She moves in a tortuous way , dancing in the superb(눈부신)

manner that the moment demands, moving only her hands and arms,

completely lost in the trance of the charged flamenco atmosphere.

The singer sings to her, the guitarist plays for her, and she moves

towards them ,responding with a pureness of dance and movenent

that has the effect of somehow exalting the crowd, while at the

same time intensifing their desplution.

They reaches the culmination, flamenco's perfect moment, when

all of flamenco's components are combined in a rare purity

of expression. The monotonous ,beating rhythm continues,

slower and slow​er, until ,without warning, the guitarist seems

to​ die at the perfect time.

We are all quiet a moments, completely entranced , a little

ashamed​ of our raw emotions, and yet savouring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that we know would rarely be repeated.

That is the climax of the evening and not long after,

the ​juerga breaks up. Further performing is meaningless.

'연작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정 증보 플라멩코 이야기 0-0-0  (0) 2014.09.07
증보판 플멩코 이야기 0-0-0  (0) 2014.08.14
플라멩코이야기 2-24  (0) 2014.08.03
플라멩코이야기 2-23  (0) 2014.08.03
플라멩코이야기 2-22  (0) 201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