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화교김 8 2. 회상의 개울 2. 극장간판 화가 1950-60년대에 마산에서 사춘기를 보낸 이들이라면 창동극장가의 영화 간판위의 미인들이 지금도 눈에 아른거릴 것이다. 어떤 이는 강남극장의 간판에서 처음 본 '왕과 나' 의 여배우 데보라카의 모습이 머리속에 그려지고, 다른 이는 간판위의 오도리 헵븐.. 카테고리 없음 2013.12.07
미화교김 7 2. 회상의 개울 1.어둠과 섬광 일본에서 조선인으로 살아 온, 김 김동준과 부인 박상금은 딸 넷 다음에 막내이자 다섯째로 귀하게 얻은 아들 대환이 세살나이에 특별한 손재주를 보이는 게 신통하였다. 말도 채 배우지못한 나이의 아들녀석이 손에 든 필기도구로 방의 벽이란 벽을 손에 닿.. 연작산문 2013.12.07
미화교김 6 2.회상의 개울 교당은 ,곁에서 느껴보면, 정적 사색이나 이성적 논리보다 감성적인 동적 직관의 성향이 더 강하다. 그에게서는 숲이 있는 산의 고요보다 수평선이 유혹하는 바다의 변화와 출렁임이 연상된다. 아닌게 아니라 그는 바다에 친숙하다. 그가 사춘기를 보낸 곳이나 그 후 평생.. 연작산문 201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