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우는 그녀와 그렇게 소통이 끊어진 상태로 무턱대로 그냥 시간만 보낼 수는 없었다. 플라멩코 춤을, 더우기 그녀의 춤을 사랑하는 인문 자신과 그녀와 여지껏 나누던 친밀한 관계가 더 이상 이어지지않음에 마음이 적잖이 아팠다. 그래서 이 상태를 그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는 초조감도 들었다. 그럴 즈음 순간적으로 '이 추모공연이 내년에도, 무엇보다 나의 주도아래, 이어질 것이니 이를 명분 삼아 그녀에게 한번 더 이메일을 보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인우는 즉시 그녀에게 아래의 이메일을 보냈다:
7월15일, 2011
Dear 엘레나.
헬로우, 건강은 어떤지요 좋아져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춤은 계속하고 있으리라 여깁니다.
엘레나의 춤을 본 마산 사람은 누구나
엘레나가 마산에 와 춤추는 모습을 보고 싶어합니다.
엘레나의 춤을 사랑하는,
인우
엘레나는 인우의 이 이메일에 여전히 침묵하였다. 올 초 그녀가 그 추모공연에 참여할 수 없다고 통보하는 그 메일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메일을 보내지 않았다. 인우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그녀의 회신을 기다리다 , '그녀가 회신을 보내지않으려나보다'하며 체념하던 그 순간, 인우의 머리 속에 그녀가 마지막으로 보낸 그 이메일 속의 한토막 글귀가 떠 올랐다. 아래가 그 글이다:
"나는 인우가 믿고있는 그런 엘레나가 못됩니다. 지금은 지난 날의 내가 아닙니다. 나는 슬프고 침울하며 두렵습니다. 양자딸도 그리고 남편도 잃은 나로서는 지금 더 이상 삶을 유지하고 싶지않는 심경입니다. 그리하여 지난 며칠동안 고심 끝에 이런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내가 그 일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입니다. 나는 인우와 한국인들을 앞으로도 항상 사랑할 것입니다. 그리고 용서를 구하고 싶습니다. 인우가 처할 곤경이 얼마나 클지를 잘 아는 나로서는 나로서는 그런 기대는 할 수는 없지만, 그렇지만 용서해달라고 간곡히 빌 뿐입니다. 엘레나로부터"
그녀의 이 말이 새삼스레 떠오르다니!
처음 이 글을 볼 때 변명이 이렇게나 길다니 하며 대충 읽고는 메일을 덮어버렸었지.
그런데 그녀가 실제로 얼마나 괴로웠으면,용서해달라는 말까지 써 보냈을까?
그렇게나 참담한 표현을! 자신으로 인해 인우가 큰 곤욕을 치루게 되리라 여겨져
용서를 빌다니! 마리사가 엘레나의 출연취소의 통보를 알리는 메일에 순간적으로 마산에서
도망이라도 치고 싶은 심정이었어. 내가 고향에서 어쩌다 이렇게 사기꾼으로 전락하고 말다니!
그 통보에 인우는 한동안은 딜레마에 빠져 그 행사를 취소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기 직전에
서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댄서를 섭외하면 어떻게느냐 라는 주변의 권고를 받아들여
즉시 댄서 나디네를 그 추모무대의 중심 인물로 선정하게 되었었지. 운좋게 관객들은
처음 대하는 나디네의 플라멩코 춤에 열렬한 박수를 보냈었고, 그녀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그녀가 다음 해도 중심인물로 무대게 서게 되는 것으로 상황은 잘 진정되었던가 아닌가.
아, 이제 엘레나가 그 메일을 끝으로 더 이상 소식을 보내지않을 모양이야.
그녀의 침묵엔 아무래도 내가 짐작할 수 없는 심리적 요인이 있을거야.
나에 대한 서운함이 진하게 깔려 있음에 틀림없어.
출연 취소를 용서까지 구하는 미안함으로 알리는 그녀의 메일에
여지껏 내가 묵묵부답하고 마음의 문을 닫았던게 아닌가.
지금의 이런 상황은 나로 인해 비롯된 거야.
이건 내 탓이야.
결과적으로 내 가 그녀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거야.
내가 그녀의 마지막 이메일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는 그녀의 출연취소 통보에 자신이 치루게 될 곤욕만 두려워하며 그녀의 그 절절한 마음이 담긴 메일에 답장을 하지 않은 채 몇달을 외면해버렸으니!
이제사 어떻게 지내는 지 궁금하다는 메일을 아무 일 없는 듯 보내며 회신을 기다린다고 했으니!
그녀를 그렇게나 오래도록 침묵케 해놓고......
엘레나의 입장에 서보니 마음이 무겁기만 해.
그녀의 심리 상태를, 그녀의 개인적인 이런 저런 시정을, 대충은 짐작할 수 있었던 내가 그렇게나 냉정하게 침묵해놓고 이제 와 아무 일 아닌듯 그런 인사말을 담아 보냈으니!
그래도 내 입장으로는 그럴 수 밖에 없지 않는가.
그 공연을 그런대로 성황리에 끝을 맺은 게 얼마나 큰 일인데.
그 상황에 판단을 잘못하여 일을 그르쳣다면 나는 아마 마산에서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는
처지로 몰릴뻔 하지 않앗던가. 공연을 잘 치루어야 한다는 일념으로 그 몇달을 밤낮으로
온 정성을 다 쏟고 있었던 터라 그 당시에는 엘레나의 존재는 그의 머리 속에서 아예 지워ㅕ 있엇던 게 당연한 게 아니엇나. 너무 가슴 아파 하지 마.
그녀의 침묵이 계속 이어지는 동안 인우는 이제 마음의 평정을 되찾아 그녀를 좀 더 객관적으로, 그러나, 가능한 한, 그녀의 입장에 서서 되돌아보기시작하였다. 그는 심리학적으로 당시의 그녀는 항상성을 잃고 정신적 혼란에 빠져들었던 게 틀림없다. 그녀가 출연취소를 통보는 메일에 나타난 여러가지 변명성 이유들이 다분히 그녀의 정신적 균형감이 무너진 상태임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 그 때는 그녀는 남편과도 헤어지게 된 상태에다 그렇게나 간절히 바라던 양녀의 입양이 무산된 상태에 있을 때, 인우가 그녀에게 제시한 출연 조건은 그녀의 자존감은 말할 것도 없고 생활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않는 수준이어서 그녀의 정서적 항상성을 무너지게 하는 격발 작용이 되었을 것이다.
한 개인의 욕구와 가치들을 무력화시키는 외부적 자극이 강할 때 이를 견디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 그는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비정상적인 신체적 변화를 겪게된다는 것이 그것이다.
사람들에 따라 자신의 욕구나 가치가 기대치에 어울릴 정도의 결과로 지켜지면 정서적 균형을 유지하게되지만 그 가치나 욕구가 박탈되거나 무산되면 격심한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게되는 것이다. 외부적 요인은 사람에 따라 이를 견딜 수 있는 정도가 각기 다를 것이며 그 자극에 견디지 못할 정도로 스테레스를 받는 경우는 항상상이 이을 테면 심리적 균형이 무너진다는 의미인 것이다.
아, 내가 너무 감정적이었어.
공연 준비에 올인하느라 그만 무심했다는 건 일종의 핑계야.
엘레나가 약속을 저버려 나를 궁지로 내몰았어. 뭐 이런 감정이 앞섰던 거야.
메일을 보내지도 않고, 게다가 나의 묵묵부답은 결과적으로 그녀의 메일을 받지않겠다는 신호가 되엇을 터이니!
이래 저래 ,그녀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균형이 무너져 병원신세까지지는 상황이 되었던 것을, 내가 그녀의 입장에서 한번 생각했어야 했는데.지금 그 공연을 잘 끝내고 내년의 공연을 생각하며 그 때에는 그녀를 한번 무대에 올려보자, 뭐 이런 계산으로 그녀에게 메일 보낸 것이 아닌가! 아무리 그렇더라도 둘의 특별한 관계를 생각하면 그건 옳바른 태도가 아니지.
의리 없는 짓이지.
Have you ever met someone that seemed totally even-keeled? Not overly happy, sad, or excitable; just sort of content, as though everything in their life is exactly where they want it to be. I'm always curious about these kinds of people--how did they achieve this level of evenness and what drives them?
In psychological terms, this kind of balance is referred to as homeostasis, which is most easily defined as a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e of stability. The concept of homeostasis isn't limited to psychology, but can actually be applied widely to any person or thing that demonstrates a stable equilibrium.
Say, for example, that you've just come inside from the cold weather and you're hungry. Other than these two things, every one of your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eds have been met. once you take the time to satisfy your hunger and reach a desired temperature, you will have reached the point of homeostasis.
In a physiological context, homeostasis is fairly easy to identify because, with few exceptions, the body has standard requirements, like food, water, or rest. The human mind, on the other hand, is far more complex and homeostasis might not always be achieved in a healthy or positive way. For example, if a person has a poor self-esteem, they have certain negative beliefs about their abilities, appearance, or some other characteristic.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se beliefs are true, they believe them to be true and any challenge to those beliefs will upset their homeostasis because it suggests that their beliefs--on which they have based much of their identity--could be wrong. Given that, for this person to maintain homeostasis, they must uphold their poor self-esteem.
Need States & Drive States
When it comes to the body, homeostasis is something for which we should all be striving. After all, I doubt that there are many people out there that want for their body to be dysfunctional or disabled. In a psychological context, however, homeostasis can be a less desirable goal and is much harder to maintain for long periods of time.
In a very basic sense, homeostasis indicates that all of our needs have been met and we want for nothing. Physically, the things that disrupt homeostasis, like hunger, are known as need states and in most cases they are easy to satisfy. Like their names suggest, need states are based on innate human needs, like food and sleep, which makes them primary because they're generally required to stay alive. In psychological homeostasis on the other hand, these disruptions are referred to as drive states and they're somewhat less easy to satisfy. Drive states are what is known as a secondary state because it's informed by things like social expectation and cultural beliefs, which are learned.
Imagine, for example, that you're in a relationship that no longer provides joy or happiness. If you believed that romantic relationships are built solely on these two things, the absence would cause a major disruption in your equilibrium. Yet, unlike a physical need state,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might be long, difficult, and painful--all of which causes stress and possibly anxiety, further disrupting homeostasis.
Despite the difficulty and pain, however, the drive state will encourage you to end the relationship in order to ensure that your experience of romantic relationships aligns with your beliefs and criteria for those relationships, thus restoring homeostasis.
Homeostasis & Motivation
The previous example demonstrates how homeostasis and our drive states are major contributors to motivation. In order to ensure that our experiences and state of being are balanced, we're often motivated or forced to make changes. If you work at a fast food restaurant, for example, but you're absolutely certain that you're capable of much more, you wouldn't be in a state of homeostasis. Instead, your drive state would be triggered by the imbalance and motivate you to improve your employment situation.
As previously noted, this motivation doesn't always involve positive change. This is because the drive state is very often triggered by arousal. Imagine that you've gone out for drinks with a friend and after two drinks you know that you need to stop so you can drive home. Even though you know that the responsible thing to do is stop drinking, your drive state wants you to keep drinking and continue having fun, which means that homeostasis won't be restored until the drive state is satisfied.
Conceptually, homeostasis appears to be a fairly straightforward idea and in the case of physiology, it is. In a psychological context, however, the drive state that disrupts homeostasis is a secondary state that is built on learned beliefs and ideas and triggered by arousal. As a result, this makes psychological homeostasis far more complicated to untangle and capable of producing negative outcomes.
Lesson Summary
Homeostasis is a term that refers to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balance achieved when one's needs and desires have been met. In a physiological context, homeostasis is disrupted by what is referred to as a need state, which is an innate need, like hunger. Psychologically, however, the disruption is caused by drive states, which are secondary states built on learned behavior and beliefs. Because they are often triggered by arousal, drive states can cause people to engage in negative behaviors, like over-eating or excessive consumption of alcohol.
'연작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멩코바일라오라b 3-4 (0) | 2019.08.09 |
---|---|
플라멩코 바일라오라b3-3 (0) | 2019.08.06 |
플라멩코 바일라오라b3-1 (0) | 2019.08.06 |
플라엥코 바일라오라b2-4 (0) | 2019.08.05 |
플라멩코 바일라오라b2-2 (0) | 2019.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