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인우는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고도인 헤레스에서 캐시(Kathy)라는 이름의, 한 미국인 플라멩코 애호가를 만났었다. 은퇴한 간호사인 그녀는캐시는 헤레스의 집시 구역인 산티아고에서 장기 투숙하면서 마리사에게 플라멩코 춤을 배우고 있었다. 인우가 헤레스에서 마리사와 더불어 그녀를 만났을 때 그녀는 플라멩코 해설서인 '버림받은 자들의 노래'(The song of the outcasts)를 탐독하고 있었다. 그녀는 춤을 배우는 자로서보다 오히려 나이 지긋한 탐구가의 풍모를 띠고있었다. 그녀는 마리사를 통해 인우에 대해 들어 알고있었다면서 그를 구면인 것처럼 반갑게 맞이해 주었다. 그것도 , 그가 스페인 여행 중에 호스텔을 제외하고는 거의 들을 수 없는 영어로!
인우가 플라멩코와 엘레나의 춤을 깊히 사랑하게 된 데에는 사실상 영어가 결정적인 매개요소가 되었다. 만약 그가 영어에 친숙하지 않았다면, 엘레나에게나 플라멩코 쪽으로 그렇게 가깝게 다가서지 못했을 것이다.
스페인 여행 중에 현지 언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워 많은 고생을 겪어야했던 인우로서는 이 날 처음 만난 카시와 영어로 모처럼 편안한 대화를 즐길 수 있었다.. 게다가 세 사람이 나눈 대화의 주제가 플라멩코에 관한 것이었으니, 인우에게는 더없이 소중하고 즐거운 자리였다.
다음은 그들의 대화이다:
.............
.............
캐시: 인우님도 이 책, '버림받은 자들의 노래'를 한번 읽어보세요. 플라멩코에 관한 깊이있는 해설서입니다.
인우: 그래요? 어디 한번 보여주세요.
마리사: 캐시는 이런 분이예요. 춤은 아직 서툴지만 독서를 통한 열렬한 플라멩코 애호가입니다. 가르시아 로르카의 시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그건 그렇고, 캐시, 오늘의 손님을 위한 특별한 메뉴는 뭔가요?
캐시: 스테이크와 치즈 빵입니다. 야채 수프와 상그리아 주스도 있습니다. 특별히 세리주도 준비했습니다. 오늘 손님은 아마도 이 곳 샌디에고에 발을 내디게 되었을 순간 취기를 불러일으키는 어떤 향기를 맡게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만.
인우: 예. 그렇던데요. 포도주 향이 진하게 나던데요.
그라나다에서는 상그리아를 처음 맛 보았습니다.
마리사: 세레주는 이 곳 헤레스의 특산물입니다. 시내의 지하공간이 온통 세리주의 저장소이니까요.
캐시: 인우님. 내년에도 여기 헤레스로 오십시요. 이 동네는 방 하나 얻기가 쉬워요.여기 방 하나를 빌려드릴게요. 미국에서처럼 자유롭게 '룸세어'하면 되잖아요.
그런데 이 곳엔 잘 왔어요. 칸테는 이곳 헤레스에 들어야해요. 플라멩코의 참 맛은 기타반주없는 '깊은 노래' 잖아요
인우: 그렇잖아됴 어제 이곳 중앙광장의 플라멩코 연구소에서 반주없는 칸테를 들었습니다. 재즈 분위기의 성가곡이 연상되었습니다. '칸테 혼도(깊은 춤)은 원래 이런 것이구나' 했습니다.
캐시: 난 요즘, 이 책이 글 중 ' Ballet is up: flamenco is down'을 두고 자주 사색했습니다.
인우: '발레는 위로, 그리고 플라멩코는 아래로'? 방향성을 의미하는 말이겠네요. 이 의미는 춤이 잘 표현하는 게로군요. 특히 자파테아도가 특히 이를 상징적이라 표현해주는 것이겟군요.
마리사: 그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슈라이너의 책 ' Flamenco'에도 그와 비슷한 뜻의 표현이 들어있습니다.Ballet takes to the air: flamenco is tied to the earth.'그가 그것입니다. 발레는 공중을 지향하고, 플라멩코는 땅에 근거를 둔다. 뭐, 이런 의미인데요. 슈라이너의 그 책 역시 플라멩코 이해를 위한 필독서입니다. 땅으로 향한 춤의 그 지향성에 대해 한 마디 추가하자면, 춤은 마치 어떤 강한 자력에 이끌리듯 그 근본을 땅에 둔다는 말이기도 하지요. 중력의 영향아래 놓인다는 말과 같은 거지요. 인우님이 엘레나의 춤에 대해 내게 전에 말한 적이 있었습니다. 포틀란드에서 처음 그녀의 춤을 보았을 때, 몸놀림이 날렵한 그녀의 춤은 우아하였지만, 몇 년 후 마산에 온 엘레나의 춤을 다시 보았을 때 춤의 폭발력에 압도당한 느낌이었다고 피력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녀의 몸집이 과거에 비해 중후해 진 탓이었겠지만, 원래 플라멩코 춤 자체에 아래로 향한 강한 힘이 있습니다. 자파테아토가 그 폭발력을 절정으로 이끌지요.
캐시: 마리사님의 그런 해설은 오늘 인우님 앞이라 그런지 처음 입니다. 내게는 춤 강의 시간에 그저, 고개를 숙이지 말라, 몸은 곧 바로 세우고, 팔놀림은 원을 그리듯 아름답게, 이런 말씀 뿐이랍니다.
마리사: 캐시는 늦은 나이에 춤을 배우고 있는데도 몸놀림이 그래도 유연한 편입니다. 기 죽을 필요없어요.
인우: 캐시! 이 자리에서 춤 한번 보여주시면 안되나요?
캐시: 인우님 앞에서? 내 솜씨로는 아직이예요.
마리사: 혹시 인우께서 기타 반주를 하신다면, 그녀가 그 소리에 유도되어 자리에서 서서히 일어날지도 몰라요. 그렇지만 미국인 캐시로서는 이런 자리에서는 좀은 어색한 느낌일 것입니다. 이 곳 헤레스에서는 누구나 춤을 출 수 있답니다. 여러 사람이 모여 세리주라도 한잔씩 나누는 분위기라면 춤은 절로 나와요. 유도해주는 기타반주가 있건없건 상관없이 소리부터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뒤이어 팔마스로 박자가 이를 튓받침하게되고. 그 다음은 남여를 불문하고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춤추는 자세가 생기게 됩니다. 이 곳의 집시인들에게는 이게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그렇게 인우가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지방으로 플라멩코 여행을 떠나게 된 데는, 댄서 엘레나가 이보다 몇달 앞선 지난 겨울에 그녀로서는 낯선 한국의 마산으로 초대되어 펼친 성대한 플라멩코 공연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공연을 기획 연출한 인우는 그녀의 부추김으로 용기를 내어 혼자 스페인으로 플라멩코 여행에 나섰던 것이다. 그는 여행 중에도 마음은 온통 그녀에게로 향하고 있어 가는 곳마다 여장을 풀기가 바쁘게 미국의 엘레나와 이메일을 주고 받았던 것이다.
한편,한국인 플라멩코 무희 나디네가 무대의 중심인물로 선정되어 진행된 그 <315의거 김용실 추모공연>이 첫 해를 시작으로 연이어 3년이나 이어졌었던 일 역시 그 시작은 미국의 엘레나로 인한 것이었다. 그녀가 마산에 와 공연하겠다는 약속아래 그 행사 준비가 되었으나 그녀 대신 서울에서 활동중인 한국인 플라멤코 댄서가 출연하였고 결과적으로 3년이나 지속되어 의미있는 추모행사가 되었던 것이다. 그 3년여 시간 동안 인우는 그가 맡아 진행하는 공연 일에 몰입하느라 엘레나를 생각할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그의 머리속은 온통 그 공연에 관한 사항들로 채워져 엘레나가 떠오를 틈조자 없었던 것이다.
그 3년간의 추모고연에서 한가지 특별한 점은 플라멩코가 중심 요소였던 3년간의 그 추모무대에서 플라멩코의 춤보다 더 인상적이었던 장면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3회째의 공연에 출연한 판소리 소리꾼의 '진도아리랑'의 첫 대목이었다. 낮고 깊게 흐르는그녀의 목소리에 담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의 울림이었다. 그 날 공연 프로그램의 첫 순서로 판소리 소리꿈의 그 '아리랑'이었던 것이다. 막이 오르고 첫 무대의 시작전까지만 해도 웅성거림이 잦아들지않던 객석이 그 소리의 첫 음절에 일시에 압도되었다. 웅성거림이 일시에 사라지는 것이었다. 무대 안쪽 한 편에 서서 객석과 그녀를 지켜보고있던 연출자 인우는 어둠 속의 그 첫 소리 '아리랑....' 에 직감적으로 오늘의 무대는 대 성공이겠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었다.
만약, 인우가 그 추모공연을 계속 맡아 진행했다면 그 다음 공연은 틀림없이 그녀의 그 '아리랑'을 프로그램의 가장 중심에 두었을 것이다. 인우에게는 그날 공연에서 들은 그 젊은 판소리 소리꾼의 아리랑은 두고 두고 잊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녀의 소리와 분위는 엘레나의 춤에 그가 매료된 것 만큼이나 인상적이었던 것이다.
플라멩코의 칸테의 경우, 소리(칸테)를 제대로 내는 한국인 소리꾼을 인우는 아직은 만나지 못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게 인우의 판단이다. 왜냐하면 플라멩코 칸테는 안달루시아의 집시 출신이 아니면 쉽게 터득할 수 없는 소리이기 때문이이다. 그 지역 집시 특유의 방언으로 된 시구(copla)가 현대음악적 요소인 코드나 화성을 무시한 '아필라'의 소리에 실려 터져나오는게 플라멩코 칸테인 것이다. 판소리를 남도 소리꾼 집안이 아니면 쉽게 터득할 수 없듯이, 그 플라멩코 칸테 역시 안달루시아 집시출신이 아니고서는 쉽게 소화할 수 없는 배태적인 소리인 것이다.
플라멩코 춤은 미국인 엘라네나 일본인 미추에가 배울 수 있었지만, 미국인이나 한국인 중에서 그 소리를 제대로 배운 인물을 인우는 아직 만나지 못했다. 그 소리의 경우, 무슨 악보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입에서 입으로 그저 전승되어 흐를 뿐이기에 그 집단 속에서 태어나거나 어릴 때부터 그 속에 셖여 자리지않고서는 쉽게 터득할 수 없는 영역인 것이다.
3년간의 그 세번의 추모공연을 전후로 플라멩코에 대한 인우의 미감이 점점 달려졌다. 처음엔 플라멩코라면 춤이 그 중심이었으나, 시간이 좀 지나면서 기타의 멜랑콜리한 소리에 , 그 깊은 우수의 감미로움에 점점 더 깊이 매료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는 칸테였다. 극복할 수 없는 삶의 불행감이 그 애통의 소리를 통해 더 리얼하게 피부에 와 닿는 것이었다.
스페인의 그라나다에선가 아니면, 카디스에선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여행자로서 혼자 도심의 직선길을 깊은 상념에 빠져 걷고 있었다. 말할 것도 없이 플라멩코에의 몰입이었다. 머리속엔 오직 플라멩코의 춤과 노래(소리) 그리고 기타의 울림뿐이었다. 춤, 특히 독무의 경우, 그것이 어떤 형식의 것이건 간에 그것은 본질적으로 내향성의 것으로서. 표현성이 그 특성이었다. 춤은 그 내용이나 혹은 노래의 의미를 따르기 보다 자신의 내면을 표현함으로써 그 내향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것이었다.
역사적으로, 지난 날 안달루시아 집시들에게는 세상은 그들에게 비정하고 강압적인 사회였다. 그들 사회적 하층계급이 이런 적대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자신들의 고통이나 절망을 외침의 소리와 저항의 몸짓으로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게 전부였었다. 그것이 곧 플라멩코의 기원이자 그 본질적 요소이다. 점차 그들의 이런 아우성의 소리는 심지어 상호고류의 수단인 언어적 표현을 대신하기 까지 하였다.이것은 이른 바 플라멩코의 칸테(소리)인 것이다.
이들의 그 깊은 노래의 하나인 '시규리어'의 첫 도입부로 시작되는 '아이! 아이! 아이!'가 곧 그런 표현 , 박탈감과 절망감의 적극적인 표현이었다. 그런 점에서 그들 소리꾼(칸타오라 혹은 칸타오르)의 목소리는 이태리 가곡의 벨칸토의 미성과는 거리가 멀다. 멜로디의 고저나 화음의 조화로움도 없다. 그저 애통하는 소리인 것이다.
인우가 50대 후반의 나이에 들어선 2001년의 시점에 처음으로 체험한 플라멩코의 춤과 노래 ,그리고 우수의 기타소리가 노년기가 점점 깊어진 지금에도 그의 내면에 여전히 살아 자리잡고있다.
그가 그렇게 플라멩코에 몰입하게 된 것은 그 엘레나와의 만남과 그리고 그녀와와 지속적인 이메일 나눔이 있었기 탓이었다. 실제로 그가 플라멩코의 발생지인 스페인 안달루시아로 혼자 여행길에 나선 것도 그녀가 마산에 와 플라멩코 공연을 한 뒤 곧바로 이루어졌었고, 지난 3년간 지속되어온 자신이 기획하고 연철하였던 추모공연도 사실 그 발단은 그녀와의 메일 소통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3년간 해마다 이어진 그 추모공연이 처음 시작된 것도 순전히 엘레나와의 교감을 통해서 였었다. 인우는 그녀에게 이메일로 자신의 그 공연 구상을 알리면서, " 엘레나가 이 무대에 설 수 있다면 한번 시도해보겠다. 마산으로 올 수 있겠는냐?라고" 그녀의 의중을 타진한 것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그녀는 이를 진심으로 반겼다. "게런티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기쁜 마음으로 마산으로 가 그 추모의 무대에서 춤을 추겠다," 의 메일을 즉시 보내줌으로써 그 판이 벌이지게 되었다.
지난 1960년 3월 15일의 밤, 마산에서 반정부,반독재 의거의 물결이 마산을 휩쓸었었다. 그 의거의 대열에 앞장서다 붉은 베고니아 꽃잎으로 숨진 고등학생이 있었다. 당시 고교 1년생이었던 인우의 학급 반장이었던 김용실이 바로 그였다. 김용실이라는 이름을 50년 세월이 지나는 동안 가슴에 묻고 살아왔던 70대의 노인들 몇몇이 의논하여 지난 날의 급우의 가물거리는 그 애띤 얼굴을 마음에라도 붙들어두고 싶어 <마산 315의거 김용실열사 추모의 밤>을 펼쳤던 것이다. 그 행사의 직접적인 발화요인이 다름 아닌 플라멩코 댄서 엘레나의 메일이었던 것이다.
'연작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틀란 플 댄서-마음의 동굴, 제2부 (0) | 2019.10.31 |
---|---|
포틀란 플 댄서- 마음의 동굴, 제1부 침묵 1 (0) | 2019.10.30 |
포틀란 플 댄서- 마음의 동굴, 제 1 부 샤갈 1 (0) | 2019.10.29 |
포틀란드의 플라멩코 댄서- 마음의 동굴 제1부 열망 2 (0) | 2019.10.27 |
포틀란드의 플라멩코 댄서-마읨의 동굴, 제1부 열망1 (0) | 2019.10.27 |